알쓸신잡/연구 소개

[연구 소개] 신경 신호의 숨겨진 비밀: Serine Racemase와 시냅스 교차 신호 전달의 새로운 발견

최첨단 생명공학 연구 개발 회사, 진온바이오텍 2024. 12. 20. 10:58

우리 몸의 유전 정보는 다양한 신호 전달 체계와 단백질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유지되고 조절됩니다. 특히, 신경 전달 과정에서 NMDA와 AMPA 수용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신경 가소성과 관련이 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rine Racemase Regulated by Binding to Stargazin and PSD-95"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Serine Racemase(SR)라는 효소가 시냅스 단백질인 Stargazin과 PSD-95에 결합하면서 NMDA와 AMPA 수용체 간의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구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인간 단백질칩을 이용한 대규모 스크리닝 기법인 마이크로어레이를 활용하여, SR이 AMPA 및 NMDA 수용체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외에도 면역침강법과 서브셀룰러 프랙셔네이션 등 다양한 생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SR의 위치 및 효소 활성 변화를 상세히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Stargazin 및 PSD-95와 SR의 결합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과 후속 실험을 통해 SR이 Stargazin 및 PSD-95와 결합하여 삼원 복합체(ternary complex)를 형성함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SR이 AMPA 및 NMDA 수용체 간의 교차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SR 효소 활성 조절

Stargazin과 결합한 SR은 효소 활성이 억제되는 반면, AMPA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이 결합이 해제되어 SR의 활성이 증가하고 D-Serine의 합성이 촉진됩니다. D-Serine은 NMDA 수용체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로, 이러한 변화가 NMDA 수용체 신호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신호 전달의 새로운 메커니즘

AMPA 수용체의 활성화는 SR이 시냅스에서 떨어져 더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해주며, NMDA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두 수용체 간의 교차 신호 전달을 통해 시냅스 가소성과 신경 적응을 지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의 중요성

이 연구는 시냅스에서 SR이 AMPA 및 NMDA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경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발견은 신경 장애, 특히 NMDA 수용체와 관련된 정신 질환의 발병 기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또한, Stargazin 및 PSD-95를 통해 SR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신경 전달 조절의 새로운 치료적 접근을 제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향후 기대

앞으로는 이러한 교차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NMDA 및 AMPA 수용체와 관련된 다양한 신경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 연구는 다른 시냅스 단백질과 효소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신경 신호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입니다.


진온바이오텍 서비스 소개

이번 연구에서는 인간 단백질칩을 이용한 대규모 스크리닝 기법인 마이크로어레이를 활용하여, SR이 AMPA 및 NMDA 수용체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와 같이 인간단백질칩을 활용한 연구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저희 쪽으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문의📧

이메일: info@geneon.kr (연구및협업관련) / help@geneon.kr(기타문의)

전화번호: 070-4712-9090

바로가기: https://www.geneon.kr/contact-us/


#논문 #연구소개 #건강 #의학 #바이오 #생명공학 #인간단백질칩 #유전자 #신경과학 #NMDA수용체 #AMPA수용체 #교차신호전달 #SerineRacemase #Stargazin #PSD95 #시냅스 #신경전달 #마이크로어레이 #DSerine #뇌과학 #시냅스가소성 #정신질환 #신경질환 #신호전달 #바이오연구 #유전자치료 #신경과학연구


출처: https://pubmed.ncbi.nlm.nih.gov/25164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