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어레이 72

[연구 소개] 신경 흥분성과 연관된 핵심 비암호화 RNA

우리 몸의 DNA는 손상 위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복구하는 기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신경 세포의 활동 조절 역시 신경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과도한 신경 흥분성은 간질과 같은 신경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The long non-coding RNA NEAT1 is responsive to neuronal activity and is associated with hyperexcitability states"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NEAT1이라는 긴 비암호화 RNA(lncRNA)가 신경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그 비정상적인 조절이 간질과 같은 과흥분성 상태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스크..

[연구 소개] 우리 몸의 유전 정보 보호를 위한 중요한 기전: NHEJ와 SUMOylation의 역할

우리의 DNA는 일상적으로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비상동성 말단 접합(NHEJ)은 DNA 손상을 복구하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로, 유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Microarray Screening Reveals Two Non-conventional SUMO-Binding Modules Linked to DNA Repair by Non-homologous End-Joining"라는 연구를 통해 SUMOylation이라는 단백질 변형 과정이 NHEJ를 포함한 DNA 복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스크리닝연구진은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SU..

[연구 소개] AHSA1과 다발성 골수종의 저항성 메커니즘 및 치료 가능성

우리 몸의 세포는 지속적으로 손상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이 생명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암세포는 이러한 손상을 이용해 빠르게 증식하고, 기존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됩니다.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MM)은 이러한 세포 증식과 항암제 저항성이 중요한 질병으로, 여전히 완치가 어려운 혈액암 중 하나로 꼽힙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AHSA1 is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for Cellular Proliferation and Proteasome Inhibitor Resistance in Multiple Myeloma"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AHSA1 단백질이 다발성 골수종에서 세포 증식과 프로테아좀 억제제 저항성을 유도..

[연구 소개] LG4를 통한 당뇨병성 신장 질환(DKD) 완화 연구

DNA는 끊임없이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비상동성 말단 접합(NHEJ)은 DNA 손상을 수리하는 주요 기전 중 하나로 유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An Indole-2-Carboxamide Derivative LG4 Alleviates Diabetic Kidney Disease Through Inhibiting MAPK-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LG4라는 인돌-2-카복사미드 유도체가 당뇨병성 신장 질환(DKD)을 어떻게 완화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술 활용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LG4가 MAPK 경로의 단백..

[연구 소개] Rv3364c 유래 소분자를 활용한 패혈증 치료제 연구

DNA는 지속적으로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복구하는 과정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v3364c 소분자가 SNX9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패혈증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연구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유래한 Rv3364c 소분자가 SNX9 단백질과 결합해 염증 반응을 조절하고, 패혈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한 연구입니다.연구 방법1. 인간 단백질칩 활용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Rv3364c 소분자가 SNX9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분석.SNX9과의 결합 특성을 대규모로 스크리닝해, Rv3364c 소분자의 염증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2. 생화학적 기법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생화학적 ..

[연구 소개] ABCA1 조절제 E17241을 통한 동맥경화 완화 연구

우리 몸의 유전 정보는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며, 특히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에서는 유전자 조절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17241 as a Novel ABCA1 Upregulator Ameliorates Atherosclerosis in Mice" 연구를 바탕으로, E17241이라는 새로운 소분자가 ABCA1 단백질을 조절하여 동맥경화를 완화하는 가능성을 소개합니다.연구 방법1. 인간 단백질칩을 활용한 대규모 스크리닝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E17241이 ABCA1 발현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조사.E17241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들을 대규모로 스크리닝해, ABCA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2. 세포 및 동물 모델간세포와 대식세포를 사용해 E17241이 ABCA1의 ..

[연구 소개] 항암 미니바디를 이용한 두경부암 치료 연구

우리 몸의 유전 정보인 DNA는 다양한 손상에 노출되며, 이를 복구하는 과정이 건강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두경부암은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암 중 하나로, 치료가 까다롭고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for Head and Neck Cancer by an Engineered Minibody Targeting the EGFR Receptor"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두경부암의 주요 타겟인 상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EGFR)를 차단하는 항암 치료제로서의 미니바디(Minibod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연구 방법인간 단백질칩 활용이번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미니바디가 특정 단백질인 EGFR과..

[연구 소개]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잉어에서 특이적 및 비특이적 항바이러스 항체 생성 메커니즘

DNA는 우리 몸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이 중에서도 **비상동성 말단 접합(NHEJ)**은 DNA 이중 가닥 절단을 복구하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잉어에서 헤르페스바이러스(CyHV-3)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특이적 및 비특이적 항체의 역할을 다룬 연구를 소개합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술 활용연구진은 CyHV-3 감염 생존 잉어가 생성한 IgM 항체가 다양한 인간 단백질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했습니다.이를 위해 약 20,000개의 인간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를 활용하여 항체 반응을 조사했습니다..

[연구 소개] Icariin이 자가면역 포도막염을 완화하는 메커니즘

자가면역 포도막염은 염증성 안구 질환으로, 치료가 어렵고 반복적인 재발이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연구 "Icariin Alleviates Uveitis by Targeting Peroxiredoxin 3 to Modulate Retinal Microglia M1/M2 Phenotypic Polarization"는 Icariin이라는 천연 화합물이 포도막염을 어떻게 완화하는지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였습니다.연구 개요연구 방법마이크로어레이 기술 활용Icariin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을 대규모 스크리닝.**Peroxiredoxin 3 (PRDX3)**를 주요 결합 단백질로 식별.생화학적 분석Icariin이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유전자 경로 분석GPX4, SLC7..

[연구 소개] Meldonium이 저산소증으로 인한 폐 손상과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메커니즘

폐는 산소 교환의 중심 역할을 하지만, 저산소 환경에서는 손상을 입기 쉬운 장기 중 하나입니다. 이번 연구 **"Meldonium Ameliorates Hypoxia-Induced Lung Injury and Oxidative Stress by Regulating Platelet-Type Phosphofructokinase-Mediated Glycolysis"**는 Meldonium이 저산소증으로 인한 폐 손상과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며,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연구 개요연구 방법인간 단백질칩 분석인간 단백질칩을 활용하여 Meldonium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을 대규모 스크리닝.**Platelet-Type Phosphofructokinase (PFKP)**를 주요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