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109

[연구 소개] ERK2의 새로운 역할: 인터페론 신호전달 억제자로서의 기능 발견

우리 몸의 DNA는 지속적으로 손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복구하고 유지하는 기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rofiling the Human Protein-DNA Interactome Reveals ERK2 a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of Interferon Signaling"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ERK2 단백질이 인터페론 신호 전달 경로에서 전사 억제자로 작용하는 기전과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스크리닝연구진은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 단백질-DNA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분석.다양한 단백질이 DNA 서열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스크리닝하여 ERK2의 DNA 결합 능력을 발견.2. 인터..

[연구 소개] RNA 앱타머로 당뇨병 치료 혁신! β 세포 표적화와 치료제 전달의 새로운 가능성

β 세포는 당뇨병 연구와 치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이를 정확히 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해 임상적 활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NA Aptamers Specific for Transmembrane p24 Trafficking Protein 6 and Clusterin for the Targeted Delivery of Imaging Reagents and RNA Therapeutics to Human β Cells"라는 연구를 통해 RNA 앱타머를 활용한 β 세포 표적화 기술과 이를 이용한 치료제 전달 가능성을 살펴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스크리닝연구진은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활용해 RNA 앱타머가 β 세포 표면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대규모로 분..

[연구 소개] ASO를 통한 C9ORF72 RNA 독성 완화: ALS와 FTD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다

DNA는 끊임없이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빠르게 복구하는 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비상동성 말단 접합(NHEJ)은 이중 가닥 절단을 수리하여 유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는 주요 기전입니다.그러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과 전측두엽 치매(FTD)에서는 이러한 복구 기전뿐만 아니라 RNA 독성 문제도 질환의 중요한 병리로 작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NA Toxicity from the ALS/FTD C9ORF72 Expansion Is Mitigated by Antisense Intervention" 연구를 바탕으로, C9ORF72 유전자 확장에 의한 RNA 독성을 ASO(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법으로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연구 소개] 신경 흥분성과 연관된 핵심 비암호화 RNA

우리 몸의 DNA는 손상 위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복구하는 기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신경 세포의 활동 조절 역시 신경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과도한 신경 흥분성은 간질과 같은 신경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The long non-coding RNA NEAT1 is responsive to neuronal activity and is associated with hyperexcitability states"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NEAT1이라는 긴 비암호화 RNA(lncRNA)가 신경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그 비정상적인 조절이 간질과 같은 과흥분성 상태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스크..

[연구 소개] 우리 몸의 유전 정보 보호를 위한 중요한 기전: NHEJ와 SUMOylation의 역할

우리의 DNA는 일상적으로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비상동성 말단 접합(NHEJ)은 DNA 손상을 복구하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로, 유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Microarray Screening Reveals Two Non-conventional SUMO-Binding Modules Linked to DNA Repair by Non-homologous End-Joining"라는 연구를 통해 SUMOylation이라는 단백질 변형 과정이 NHEJ를 포함한 DNA 복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스크리닝연구진은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SU..

[연구 소개] AHSA1과 다발성 골수종의 저항성 메커니즘 및 치료 가능성

우리 몸의 세포는 지속적으로 손상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이 생명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암세포는 이러한 손상을 이용해 빠르게 증식하고, 기존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됩니다.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MM)은 이러한 세포 증식과 항암제 저항성이 중요한 질병으로, 여전히 완치가 어려운 혈액암 중 하나로 꼽힙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AHSA1 is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for Cellular Proliferation and Proteasome Inhibitor Resistance in Multiple Myeloma"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AHSA1 단백질이 다발성 골수종에서 세포 증식과 프로테아좀 억제제 저항성을 유도..

[연구 소개] LG4를 통한 당뇨병성 신장 질환(DKD) 완화 연구

DNA는 끊임없이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비상동성 말단 접합(NHEJ)은 DNA 손상을 수리하는 주요 기전 중 하나로 유전체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An Indole-2-Carboxamide Derivative LG4 Alleviates Diabetic Kidney Disease Through Inhibiting MAPK-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LG4라는 인돌-2-카복사미드 유도체가 당뇨병성 신장 질환(DKD)을 어떻게 완화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연구 방법1. 마이크로어레이 기술 활용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LG4가 MAPK 경로의 단백..

[연구 소개] Rv3364c 유래 소분자를 활용한 패혈증 치료제 연구

DNA는 지속적으로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복구하는 과정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v3364c 소분자가 SNX9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패혈증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 연구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유래한 Rv3364c 소분자가 SNX9 단백질과 결합해 염증 반응을 조절하고, 패혈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한 연구입니다.연구 방법1. 인간 단백질칩 활용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Rv3364c 소분자가 SNX9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분석.SNX9과의 결합 특성을 대규모로 스크리닝해, Rv3364c 소분자의 염증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2. 생화학적 기법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생화학적 ..

[연구 소개] ABCA1 조절제 E17241을 통한 동맥경화 완화 연구

우리 몸의 유전 정보는 손상될 위험에 노출되며, 특히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에서는 유전자 조절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17241 as a Novel ABCA1 Upregulator Ameliorates Atherosclerosis in Mice" 연구를 바탕으로, E17241이라는 새로운 소분자가 ABCA1 단백질을 조절하여 동맥경화를 완화하는 가능성을 소개합니다.연구 방법1. 인간 단백질칩을 활용한 대규모 스크리닝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E17241이 ABCA1 발현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조사.E17241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들을 대규모로 스크리닝해, ABCA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2. 세포 및 동물 모델간세포와 대식세포를 사용해 E17241이 ABCA1의 ..

[연구 소개] 항암 미니바디를 이용한 두경부암 치료 연구

우리 몸의 유전 정보인 DNA는 다양한 손상에 노출되며, 이를 복구하는 과정이 건강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두경부암은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암 중 하나로, 치료가 까다롭고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for Head and Neck Cancer by an Engineered Minibody Targeting the EGFR Receptor"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두경부암의 주요 타겟인 상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EGFR)를 차단하는 항암 치료제로서의 미니바디(Minibod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연구 방법인간 단백질칩 활용이번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사용해 미니바디가 특정 단백질인 EGFR과..